• 2022. 1. 30.

    by. ☁︎♙☾☀︎✚♥︎

    반응형

    최근 비싼 5G 요금제를 피해 자급제 핸드폰을 구매하여 알뜰 요금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저도 아이폰을 구매하여 알뜰 요금제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요. 특히 아이폰의 경우 통신사를 통해 2년 약정으로 구매해도 기기값을 얼마 할인해주지 않아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아이폰 유저들이 많습니다. 그럼 그동안 제가 자급제 핸드폰과 알뜰 요금제를 사용하면서 느꼈던 장단점과 사용후기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자급제 폰 개통 방법

    우선 공기계 폰을 구매한 후 알뜰 통신사는 대리점이 없는데 어떻게 개통하지?라는 걱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직접 해보니 정말 쉬워서 괜한 걱정이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래 자급제 핸드폰 개통 방법을 적어 놓았으니 참고하세요!

     

    1. 인터넷 쇼핑몰에서 아무런 약정이 없는 공기계 핸드폰을 구매합니다.

    2. 자신의 데이터 사용량이나 통화량에 맞는 알뜰 요금제를 비교하여 선택합니다.

    아래 알뜰 요금제 비교 사이트를 이용하면 한눈에 나에게 맞는 요금제를 찾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

    https://www.mvnohub.kr/user/index.do

     

    알뜰폰 Hub

    알뜰폰 Hub

    www.mvnohub.kr

    3. 마음에 드는 요금제를 선택했다면 해당 알뜰 통신사에 회원가입을 합니다.

    4. 알뜰 통신사에 가입한 후 유심을 신청합니다. 퀵이나 택배로 받을 수도 있고 제가 쓰고 있는 유플러스 알뜰 모바일의 경우 가까운 편의점에서 유심카드를 팔기도 합니다.

    5. 유심을 받고 난 후 마음에 드는 요금제를 선택하여 개통합니다. 

    6. 그다음 유심을 핸드폰에 끼우면 완료입니다.

     

     

     

    장점

    합리적인 요금제

    자급제 핸드폰 + 알뜰 요금제의 가장 큰 장점은 한 달에 5~6만 원씩 나오는 통신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알뜰 요금제는 월 2만 원대에 데이터 무제한으로 사용 가능한 요금제가 있습니다. 이벤트 기간에 가입하면 요금을 할인해주고 언제든 합리적인 요금제가 나오면 바꿀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특히 아이폰을 사용하는 경우 통신사의 2년 약정을 끼고 사는 것보다 공기계를 구매하고 알뜰요금제를 사용하는 게 훨씬 이득입니다.

     

    단점

    초기 핸드폰 구매 비용이 부담

    자급제 핸드폰 + 알뜰 요금제 조합의 단점은 통신사에서 지원하는 단말기 할인을 적용받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최신형 핸드폰을 출시하자마자 구매하면 카드 할인을 받을 수 있고 또 6~8개월까지 무이자 할부를 받을 수 있다는 고려 하면 나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